상례정보

상례정보(천주교)
천주교에서 치르는 상례는 생전에 영세를 받은 사람은 <성교예규(聖敎禮規)>에 의하여 장례를 치른다. 장례절차는 다음과 같고, 신자로서의 정신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우리나라의 고유 풍습이나 장례의식을 존중하여 병행하기도 한다.
미사
될 수 있는 대로 가족이 모두 함계 아침 또는 저녁 미사에 참여하여, 본당 공동체와 함께 선조와 후손을 위해 기도하며, 하느님께 감사와 찬미를 드린다. 그 다음에 집으로 와서 아래와 같은 가정 차례 예식을 지내도 좋겠다.
준비
  • 집 안팎을 깨끗이 청소하고 차례지내는 방을 잘 정돈한다.
  • 목욕재계하고 단정한 옷으로 정장한다.
  • 고백성사로써 마음을 깨끗이 한다.
  • 정성껏 차례상을 차리되, 형식을 갖추려 하지 말고 평소에 가족이 좋아하는 을식(돌아가신 이가 즐기던 음식도 좋다)을 차린다.
  • 차례상에는 촛불(2개)과 꽃을 꽂아 놓으며 향을 피워도 좋다.
  • 벽에는 십자고상을 걸고 그 밑에는 선조의 사진을 모신다. 사진이 없으면 이름(본명)을 정성스럽게 써 붙인다.
  • 차례상 앞에는 깨끗한 돗자리나 다른 깔개를 편다.
차례의식

• 종부성사

마지막 숨을 거둘 때에 행하는 성사를 종부라고 하며 의식이 있을 때 신부를 청하여 종부성사를 받는데 오늘날에는 명칭이 바뀌어 병자 성사라고 한다.

신부가 도착하면 상 위의 촏대에 불을 밝힌 다음 신부와 환자만 남기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물러나는데 이는 고해 성사가 있기때문이다.

고해 성사가 끝나면 노자 성체 · 종부성사 · 임종 전 대사의 순서로 성사를 진행한다.

• 임종 전 대사

종부성사는 신부가 없이 운명했을 때에도 받을 수 있는데 이 때에는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환자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말을 해주고 <성서> 가운데 거룩한 구절을 골라 읽어 준다. (반드시 신자가 해야 한다)

• 운명

환자가 숨을 거둘 때에는 성촉에 불을 켜는데 성촉이란 성랍으로서 신성한 용도에 쓰기 위해 보통의 것과 구별하여 만든 초를 말한다.

불을 켠 다음에는 <임종경>이나 <성모덕서도문>,<매괴경>을 읽으며 기도문은 숨을 거둔 다음에도 얼마동안 계속해서 연도문을 읽는다.

환자가 마지막 숨을 거둘 때에는 떠나는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 주위 사람들은 될 수 있는 대로 통곡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 초상

환자가 운명한 뒤에는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히고 손과 발이 굳어지기 전에 가지런히 해준다.

이 때에 손은 합장시켜 묵주나 십자가상을 쥐어 주고 눈을 쓸어 감게 하며 입도 다물도록 해준다.

시신 머리맡의 상 위에는 십자고상을 모시고 양쪽에 촛불을 켠 다음 성수 그릇과 성수를 놓는데 입관할 때까지 이런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가족들은 그 옆에 꿇어 앉아 위령 기도를 올린다.

• 위령미사

위령미사는 연옥에 있는 사람을 위해 천주께 드리는 제사로서 연미사의 바뀐 말이다.

환자가 숨을 거두면 이 사실을 바로 본당 신부에게 알리는 동시에 곧 미사예물을 전하고 위령 미사를 청한다.

그리고 장례 날짜와 장례 미사 시간을 신부와 의논하여 정한다.

• 염습과 입관

천주교에서는 신자의 가정이면 부탁을 하지 않아도 염습에 경험이 있는 사람(단체 : 연령회)이 와서 고인의 시신을 알코올로 깨끗이 닦고 수의를 입힌 다음에 입관해 준다.

이 때 천주 교우들의 연도가 이어진다.

• 장례식

장례 일에는 고인을 성당으로 옮겨 위령 미사와 사도 예절을 행하며 입관 및 출관과 하관은 성교 예규에 따라 거행하나 화장은 하지 않았으나 요즘은 화장하는 예가 많아지고 있다.

• 하관

장지에 다다르면 묘지 축성 기도를 하고 영구와 광중에 성수를 뿌린 다음에 하관 기도를 하고 하관을 한다.

천주교식 상례에서는 신앙의 본질에 위배되지 않는 점은 수용하고 있는데 이를테면 조객에게 간단한 음식을 대접하는 것이나 언제든지 묘소를 찾아가 성묘하는 것 등이다.

레지오(봉사단체회원) 장의 절차 <98. 7월 교구청 지시사항>
  • 빈소옆에 레지오 제대를 차린다. (백실리움, 꽃, 성모마리아상, 초)
  • 꾸리아는 조화(바구니)를 증정하며 제대 옆에 소속 쁘레시디움 단기와 꾸리아 기를 세울 수 있다.
  • 장례미사 때에는 꾸리아 소속 모든 쁘레시디움 단기를 성당 안의 중앙 통로 양쪽에 도열시킨 후 사에 참례하는 단원들은 미사 시작 30분 전에 성당에 모여 평의회 단장의 주도하에 레지오의 시작기도와 묵주기도 5단을 바친다. 즉 단원들은 성당 안에서 레지오의 시작 기도를 마친 상태에서 조용히 영구를 맞이한다.
  • 미사와 고별식이 끝난 후 까떼나를 바친다.
  • 해당 평의회 단장은 고인의 생애를 소개한다. (약력, 경력 등)
  • 단원들의 헌화(꽃 한송이씩)가 있어도 좋다. (조사도 가능하다.)
  • 마침기도를 바친 단원들은 영구가 퇴장할 때 레지오 단가를 부르며 그 뒤를 따른다. (성당에서 차량까지 도열하여 성가를 부른다.)
  • 장지에서 모든 단기는 영구행렬 앞에서 행렬을 선도하며 묘지 주변에 도열시킨다.
  • 도묘와 하관 예절이 끝나면 단원들은 즉시 레지오의 전기도문(묵주기도 5단 포함)을 바치고 레지오 단가를 힘차게 부른 당음에 하관한다.
차례 예식
상례정보(기독교)

기독교식 상례는 운명한 시신의 정제 수시에서부터 하관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의식 절차가 목사의 집례에 의하여 행해진다. 운명을 하면 찬송과 기도로 고인의 영혼을 하나님께 맡기는 뜻의 예배를 보며 초종 중에는 날마다 목사의 집례로 기도회를 갖고 유가족은 빈소에서 기도회를 가지는데 찬송이 그치지 않게 한다. 기독교식 상례에서는 곡을 하지 않고 음식도 차리지 않으며 절도 하지 않는다.

또한 아침저녁으로 전과 상식을 올리지 않고 염습할 때에 묶지도 않는다. 영결식은 영구를 교회에 안치하여 행하는 경우와 상가에서 간단하게 행하는 경우가 있으며 분향 대신 영전에 꽃 한 송이씩을 바친다. 하지만 일반 조객들을 위하여 분향 준비를 하는 경우도 있다.

영결식의 순서

하관식의 순서

상례정보(불교)
불교식 상례는 임종에서부터 입관까지의 절차가 일반 상례와 대동소이(大同小異)하며 오직 영결식의 방법이 다를 뿐이다. 불교의 상례의식은 의례 규범인 <석문의범(釋門儀範)>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자세하지는 않다.
다비식(茶毘式) – 영결식